1) 목표 구조체의 크기 알아보기 #pragma pack 에 대해서 이해하기 구조체를 함수 파라메타로 사용하기 구조체 포인터인 경우 멤버접근 방법 알아보기 2) 설명 // 구조체의 크기 sizeof(CURRENT_PRICE_ST); // call-by-value로 구조체 사용하기 void print_value(CURRENT_PRICE_ST valuePrice) { printf("주식코드:[%s]\n", valuePrice.code); ... } // call-by-reference로 구조체 사용하기 void print_reference(CURRENT_PRICE_ST *ptrPrice) { printf("주식코드:[%s]\n", ptrPrice->code); ... } 구조체의 크기도 sizeof 연산자로..
1) 목표 ▶함수 파라메타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기 call-by-value 이해하기. call-by-reference 이해하기. 2) 설명 함수에 넘겨주는 파라메타(인자값)의 유형은 값을 넘겨 주는 방식(call-by-value), 주소(포인터)를 넘겨 주는 방식(call-by-reference)이 있습니다. call-by-value 방식은 함수를 부르는쪽이나 함수나 서로 영향을 주기 않습니다. 14.함수에서 살펴본 sum(int a, int b) 함수가 call-by-value의 전형적인 함수입니다. call-by-reference 방식은 주소를 넘겨 주고, 넘겨 받아서 처리하기에 값에 영향을 줍니다. 3-1) call-by-value 방식 예제 프로그램 ▶ vi func3.c #include // v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포인터
- 재고
- 소켓
- array
- While
- 문자열
- IPC
- Call-by-value
- GCC
- 파라메타
- c프로그램
- Member
- 의유
- Call-By-Reference
- memcpy
- sharetravelplan
- 배열
- struct
- 리눅스
- #define
- #ifdef
- 전처리기
- strcpy
- Pointer
- String
- #include
- Clang
- C언어
- memset
- Linux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